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0

번번이 vs 번번히 '번번이'와 '번번히' 중에 어떤 것이 맞을까? 정답부터 바로 말하자면 ‘번번이’가 맞다. “운전면허시험에 번번이 떨어져서 속상하다.”처럼 쓴다. 한글 맞춤법 제51항에 의하면 ‘줄줄이, 겹겹이’처럼 겹쳐 쓰인 말 뒤에는 부사형 접사 ‘이’를 붙인다. 따라서 ‘번번히(X)’가 아니라 ‘번번이’로 표기해야 한다. 번번이는 빈번하게 일어나는 상황을 나타내는 부사이며, 같은 의미로는 '자주', '매번', '계속해서' 등의 단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번번이의 다양한 쓰임새 번번이는 매우 강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어떤 일이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는 번번이 실패하였다."라는 문장은 "그는 매번 실패하였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번번이는 주로 비판적인 문장에.. 2023. 4. 9.
DAY 1 필수 영단어 20가지 공부하기 필수 단어를 공부해 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영어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영단어 20개를 소개해드릴게요. 이 영단어들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이라서 꼭 알아두시면 좋을 거예요. Hello: 안녕하세요 Goodbye: 안녕히 가세요 Thank you: 감사합니다 Please: 부탁드립니다 Sorry: 미안합니다 Excuse me: 실례합니다 Yes: 네 No: 아니오 Okay: 괜찮습니다 How are you?: 어떻게 지내세요? I'm fine, thank you: 잘 지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What is your name?: 이름이 뭐예요?? My name is ___: 제 이름은 ___입니다. Where are you from?: 어디에서 오셨어요? I'm from ___: 저.. 2023. 4. 9.
"내가 (누누히 vs 누누이) 말했지만 그것은 옳아!" 어떤 것이 맞을까? '누누히' 와 '누누이' 둘 중 어떤 것이 맞을까? 한글맞춤법 제 6장 51항에 따르면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또한 '짬짬이', '간간이', '빽빽이'와 같은 첩어 또는 준첩어 뒤는 '이'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누누이'가 맞다. 누누이의 뜻은 '여러 번 자꾸.'이다. 이대로 끝나면 아쉬우니 비슷한 단어 몇 가지를 알아보자. '알알이', '번번이', '샅샅이', '나날이', '길길이', '다달이', '곳곳이', '겹겹이' 등이 이에 해당한다. 2023. 4. 8.
용언의 '표현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용언의 표현 방법은 동사의 활용과 관련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뉜다. 어간 변화, 보조 동사, 동사 + 하다 1. 어간 변화 동사 어간이 변화하여 다른 의미나 품사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 '먹다'의 어간 '먹-'이 '먹어'와 같이 변화하여 다른 시제나 양태로 사용되는 경우 2. 보조 동사 다른 동사와 함께 쓰여서, 특정한 뉘앙스를 강조하거나, 상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동사를 말한다. 예시: '할 수 있다', '하고 싶다'와 같은 보조 동사 3. 동사 + 하다 동사 뒤에 "하다"를 붙여서, 동사를 명사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 '공부하다', '독서하다'와 같은 표현 이러한 표현 방법은 용언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더 다양한 의미와 뉘앙스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 2023. 4. 8.
용언의 '양태'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시간에 용언의 양태에 궁금했을 텐데 알아보자 용언에서 양태는 동사의 행위 주체나 행위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양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뉜다. 1. 진술 양태 행위나 상태를 사실 그대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 그가 나를 좋아한다. 2. 명령 양태 상대방에게 행위를 지시하거나 강요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 공부해라. 3. 의문 양태 의문문으로 표현되며, 행위나 상태에 대한 의문을 나타낸다. 예시: 어디서 왔는지 모르겠다. 양태는 문장의 뉘앙스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라서, 용언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양태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용언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클릭/터치해보자 2023. 4. 8.
'용언'에 대해 알아보자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용언, 명사, 관형사, 부사 등 다양한 품사가 표현된다. 이번에는 한글의 용언에 대해서 알아보자. 용언은 두 가지로 나뉜다. 우리나라 한글의 용언은 행위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로, 동사와 형용사로 나뉜다. 동사는 행위를 나타내며, 형용사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동사는 활용에 따라 다양한 어미를 받아 변화한다. 동사는 활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나뉜다. 어간: 동사의 기본 형태를 의미한다. 어미: 동사의 붙어 다양한 형태를 만든다. 시제: 동사의 시간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양태: 동사의 행위 주체나 행위 태도를 나타낸다. 표현 방법: 동사의 표현 방법을 나타낸다. 형용사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뉜다. 어간: 형용사의 기본 형태를 .. 2023. 4. 8.
오로지 vs 오롯이 어떤 것이 맞을까? 오로지와 오롯이에 대해 알아보자.언어에느느 유사한 뜻을 지니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도 '오로지'와 '오롯이'는 비슷한 뜻을 지니고 있어 혼란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두 단어는 사용되는 문맥과 뉘앙스에서 차이를 보인다. 오로지와 오롯이를 구분해보자.먼저 '오로지'는 '단지, 오직'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한 가지 목적이나 방법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로지 공부하기만 하면 시험에 합격할 수 있다"와 같이, 공부하기 이외에 다른 것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반면에 '오롯이'는 '완전히, 순전히'라는 의미를 가지며, 어떤 것이 다른 것과 섞이지 않고 완전히 그대로인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는 오롯이 노력으로 이겨냈다."와 같이, 다른 것에 도.. 2023. 4. 8.
챗 GPT에게 로또 번호를 물어봤다. Q. 로또 번호 알려줘 (Feat. Chat GPT) 무슨 생각이 들었을까 갑자기 챗(Chat) GPT에게 로또 번호를 물어보고 싶었다. 그래서 물어보니 답변은 이러했다. Q. 로또 번호 알려줘 A. 저는 랜덤한 숫자를 생성할 수 있지만, 로또 번호를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로또는 매주 추첨 시에 무작위로 생성된 번호로 결정되기 때문에, 미리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로또 추첨 시에는 매주 서로 다른 번호가 추첨되기 때문에, 다음 주로 또 번호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좋은 운을 빌어 제가 예상하지 못한 좋은 결과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챗GPT도 알 수 없다고 한다. 당연한 결과였는데 나는 뭘 기대한 걸까? 잠시나마 일확천금의 꿈을 꾸었지만 역시나였다. 그런 꿈은 꿈으로만 꾸고 열심히 커피마.. 2023.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