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맞춤법172

성공률 vs 성공율 어떤 것이 맞는 말일까? 성공률 vs 성공률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헷갈리는 맞춤법이 몇 가지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성공률과 성공율이다. 어떤 것이 맞을까? 성공률과 성공율은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예문을 통해서 살펴보자.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자 [예문] 친구야! 올해는 흡연 안하고 담배 끊는다고 했잖아. 이게 몇 년째니? 너 금연 (성공률vs성공율)이 어떻게 되니? [정답] 친구야! 올해는 흡연 안하고 담배 끊는다고 했잖아. 이게 몇 년째니? 너 금연 성공률이 어떻게 되니? 정답은 성공률이다. 어떨 때 '율'을 쓰고 어떨 때 '률'을 사용할까? '율, 률, 열, 렬' 언제 사용할까? 두 가지만 기억하자. 받침이 없는 모음 뒤나 받침에 오는 'ㄴ' 뒤에서는 '율, 열'이 온다. 반대로 .. 2024. 3. 5.
할인율 VS 할인률 어떤 것이 맞는 말? 할인율과 할인률 어떤 것이 맞을까?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자 A : 나이키에서 할인을 하고 있어! B : 1. 그래? 할인율이 어떻게 되는데? 2. 그래? 할인률이 어떻게 되는데? 굉장히 헷갈리는 단어들이다. 글을 작성하는 나도 알면서도 헷갈릴 때가 많은데 '율, 률'뿐만 아니라 열과 렬에도 해당이 되니 이번 기회에 헷갈리지 말도록 하자. 어떨 때 '율, 열, 률, 렬'을 사용할까? 위의 예문에서 정답부터 말하면 그래? 할인율이 어떻게 되는데? 가 정답이다. 정답은 할인율.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률, 렬'로 적고, 받침이 없거나 'ㄴ'받침이나 모음 뒤에서는 '율, 열'로 적는다. 받침이 없거나(모음으로 끝남) 'ㄴ' 받침일 때는 율, 열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백분율, 전율, 선율, 규율, 실패율,.. 2024. 2. 15.
나즈막히 vs 나즈막이 vs 나지막히 vs 나지막이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가 일상생활을 할 때 헷갈리는 단어들을 알아보자. 나즈막히, 나즈막이, 나지막히, 나지막이 중에 정답은 단 하나이다.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예문 나는 ○○○○ 노래를 불렀다. 1. 나지막히 2. 나즈막히 3. 나지막이 4. 나즈막이 '낮은 소리로', '낮게', '작게'의 뜻을 가진 부사인 이 단어는 과연 어떤 것이 정답일까? 정답은 3번 나지막이가 맞는 말이다. 나즈막이, 나즈막히, 나지막히는 모두 잘못된 표현이다. "나는 나지막이 노래를 불렀다."이다. "나는 낮은 소리로 노래를 불렀다."도 같은 뜻이다. 다른 예문을 더 살펴보자. 그녀는 나지막이 그의 이름을 불렀다. 그는 나지막이 기도했다. 그 사람들은 나지막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 단체는 나지막이 노래를 불렀다. 꽃들은 나지.. 2023. 8. 12.
웬일 vs 왠일 과연 '웬일'이 맞을까? '왠일'이 맞을까?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표현이다. 하지만 한 번 배우면 나중에 다시는 틀리지 않는다.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알아서 나중에 틀리지 말자. 예문을 통해서 살펴보자. 1. "웬 일로 나한테 연락했니?" 2. "왠 일로 나한테 연락했니?"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왜인지, 왠지 '왠'을 쓰려면 '왠지' 밖에 없다. '왠지'가 아니면 다 '웬'으로 쓴다. '왜인지'가 줄어서 '왠지'이다. '왠지'의 뜻은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이다. 따라서 정답은 "웬일로 나한테 연락했니?"이다. '웬'의 뜻은 '어찌 된', '어떠한'의 뜻이다. 예를 살펴보자 웬만해선, 웬일이니?, 웬 떡이야? 등등 '왠지'가 아니면 다 '웬'으로 쓴다고 생각하.. 202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