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맞춤법

나즈막히 vs 나즈막이 vs 나지막히 vs 나지막이

by 귀쫑긋 2023. 8. 12.
728x90
반응형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가 일상생활을 할 때 헷갈리는 단어들을 알아보자. 나즈막히, 나즈막이, 나지막히, 나지막이 중에 정답은 단 하나이다.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예문
나는 ○○○○ 노래를 불렀다.

1. 나지막히

2. 나즈막히

3. 나지막이

4. 나즈막이

 

'낮은 소리로', '낮게', '작게'의 뜻을 가진 부사인 이 단어는 과연 어떤 것이 정답일까?

정답은 3번 나지막이가 맞는 말이다. 나즈막이, 나즈막히, 나지막히는 모두 잘못된 표현이다. 

"나는 나지막이 노래를 불렀다."이다. "나는 낮은 소리로 노래를 불렀다."도 같은 뜻이다. 

 

다른 예문을 더 살펴보자.

  • 그녀는 나지막이 그의 이름을 불렀다.
  • 그는 나지막이 기도했다.
  • 그 사람들은 나지막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 그 단체는 나지막이 노래를 불렀다.
  • 꽃들은 나지막이 바람소리를 들었다.

이러한 예문에서 알 수 있듯이, '나이막이'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사이다. 소리가 낮은 것을 나타내는 데 주로 사용되지만, 속삭이는 것과 같은 다른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참고하면 좋은 국립국어원의 답변(출처 국립국어원)

‘-이’와 ‘-히’에 관한 표기는 '한글 맞춤법' 제51항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규정은 모호하게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이]로만 나는 것 [히]로만 나는 것이란, 실상 발음자의 습관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고, 따라서 예시된 단어 이외의 경우는 자칫 기록자의 임의적인 해석에 의하여 좌우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고 계신 바와 같은 여러 기준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사화 접미사 '-이/히'의 구별 문제와 관련하여, 현재로서는 아래와 같은 일반화가 모든 경우에 반드시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바른 표기를 위해서라면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시기를 바라며, 좀 더 학문적인 관심이라면 관련 전공 서적이나 논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이'로 적는 것 ① 'ㅅ'받침 뒤에서 : 깨끗이, 깍듯이, 따뜻이, 버젓이, 느긋이. ② 'ㅂ'불규칙 용언일 때 : 가까이, 가벼이, 고이, 괴로이, 쉬이, 날카로이. ③ 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 같이, 많이, 높이. ④ 첩어에 붙어 : 간간이, 겹겹이, 번번이, 일일이, 집집이. ⑤ 부사에 붙어 : 곰곰이, 더욱이, 일찍이. ⑥ 'ㄱ'받침 뒤에서 : 깊숙이, 고즈넉이, 끔찍이, 멀찍이, 길쭉이.

(2) '히'로 적는 것. ① '-하다'가 붙는 어근 뒤 (단, 'ㅅㅅ'받침 제외): 극히 급히 딱히 속히 ②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가 줄어진 형태: (익숙히→)익히 (특별히→)특히 ③ 어원적으로는 '-하다'가 붙지 않는 어근에 부사화 접미사가 결합한 형태로 분석되더라도, 그 어근 형태소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지 않은 단어의 경우는 익어진 발음 형태대로 '히'로 적는다: 작히 (어찌 조그만큼만, 오죽이나) 그리고 어근 '나지막'은 단어가 아니기에 품사 분류의 대상이 아니며, 학교 문법에서 활용과 관련해서는 '어간-어미'를, 조어와 관련해서는 '어근-접사'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한글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률 vs 성공율 어떤 것이 맞는 말일까?  (0) 2024.03.05
할인율 VS 할인률 어떤 것이 맞는 말?  (0) 2024.02.15
웬일 vs 왠일  (0) 2023.08.04
붓기 vs 부기  (0) 2023.07.19
만화가게 vs 만홧가게  (0) 2023.07.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