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할인율과 할인률 어떤 것이 맞을까?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자
A : 나이키에서 할인을 하고 있어!
B :
1. 그래? 할인율이 어떻게 되는데?
2. 그래? 할인률이 어떻게 되는데?
굉장히 헷갈리는 단어들이다. 글을 작성하는 나도 알면서도 헷갈릴 때가 많은데 '율, 률'뿐만 아니라 열과 렬에도 해당이 되니 이번 기회에 헷갈리지 말도록 하자.
어떨 때 '율, 열, 률, 렬'을 사용할까?
위의 예문에서 정답부터 말하면
<정답>
그래? 할인율이 어떻게 되는데? 가 정답이다. 정답은 할인율.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률, 렬'로 적고, 받침이 없거나 'ㄴ'받침이나 모음 뒤에서는 '율, 열'로 적는다.
받침이 없거나(모음으로 끝남) 'ㄴ' 받침일 때는 율, 열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백분율, 전율, 선율, 규율, 실패율, 비율 등이 있다.
받침이 있는 것의 예를 들면
성공률, 합격률, 명중률 등이 있다.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닐까?
국어에서는 두음 법칙은 어두에만 적용되고 제2음절 이하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률과 렬은 이러한 두음 법칙의 예외라고 할 수 있다.
제 2 음절 이하에 쓰일 때 모음이나 'ㄴ'받침 뒤에 이어지는 '률, 렬'은 '열, 율'로 적어야 하기 때문이다.
'률, 렬'로 쓰는 것
졸렬, 맹렬, 결렬, 행렬, 출석률, 능률, 법률 등
'율, 열'로 쓰는 것
진열, 우열, 치열, 분열, 전율, 비율, 운율 등
728x90
반응형
'한글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률 vs 성공율 어떤 것이 맞는 말일까? (0) | 2024.03.05 |
---|---|
나즈막히 vs 나즈막이 vs 나지막히 vs 나지막이 (0) | 2023.08.12 |
웬일 vs 왠일 (0) | 2023.08.04 |
붓기 vs 부기 (0) | 2023.07.19 |
만화가게 vs 만홧가게 (0) | 2023.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