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헷갈리는 맞춤법 끝장내기!
“되” vs “돼”, 이제 헷갈리지 마세요!
📝 “되”랑 “돼”, 당신도 헷갈렸죠?
글을 쓰다 보면 어느 순간 손이 멈춥니다.
“이게... 잘 되길 바란다? 아니면 잘 돼길 바란다?”
분명히 평소에 수도 없이 들었고 썼던 말인데, 막상 맞춤법을 지키려 하니 머릿속이 하얘집니다. SNS, 카톡, 블로그 글에서 은근히 자주 틀리는 이 ‘되’와 ‘돼’.
단 한 글자 차이지만, 의미는 전혀 달라질 수 있어요.
오늘 이 글 하나로,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더 이상 ‘되요’ vs ‘돼요’로 고민하지 마세요!
🧠 “되”와 “돼”의 결정적 차이
✔ “되”는 **본래 동사 ‘되다’**의 활용형
- 예: 일이 잘 되다, 바보가 되다
- 활용 예문:
- 모든 게 순조롭게 되길 바란다.
- 그렇게 하면 안 돼요! (❌ 안 되요)
✔ “돼”는 “되-” + 어/아요 → 줄어든 형태
- 즉, ‘되어’ → ‘돼’
- 예: 잘 돼 간다, 밥이 돼 가고 있어
- 활용 예문:
- 이번엔 진짜 잘 돼야 할 텐데…
- 이게 말이 돼?
🔍 헷갈릴 땐 이렇게 테스트!
문장에서 ‘되어’로 바꿔서 자연스러우면 ‘돼’가 맞습니다.
예: "이게 말이 되어?" → 자연스럽다 → 돼가 정답!
✅ ‘되’와 ‘돼’, 이젠 딱 감 잡았죠?
많은 사람들이 "안 되요"처럼 흔히 틀리는 표현을 습관처럼 쓰곤 합니다.
하지만 오늘 이 포스팅으로 ‘되’와 ‘돼’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셨다면,
앞으론 틀릴 일이 없을 거예요.
👉 정리 한 줄 요약:
- ‘되’는 동사!
- ‘돼’는 ‘되어’의 줄임말!
이제부턴 되요? ❌ 돼요 ✅
당당하게 쓸 수 있습니다.
📌 덧붙이는 꿀팁
- 외우기 팁: “돼”는 줄여 쓴 말이다!
"되어요 → 돼요"
“되요”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표현이에요!
📣 당신도 맞춤법 고수!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주변에도 꼭 공유해주세요!
댓글로 헷갈리는 다른 맞춤법도 남겨주시면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볼게요 😊
728x90
반응형
'한글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번만” vs “한 번만”, 어떤 게 맞을까? (0) | 2025.06.08 |
---|---|
“한번” vs “한 번”, 무엇이 맞을까? (0) | 2025.06.08 |
성공률 vs 성공율 어떤 것이 맞는 말일까? (0) | 2024.03.05 |
할인율 VS 할인률 어떤 것이 맞는 말? (0) | 2024.02.15 |
나즈막히 vs 나즈막이 vs 나지막히 vs 나지막이 (0) | 2023.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