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네 vs 그렇네
예문을 통해 살펴보자
상태가 좀 (그러네 vs 그렇네) 어떤 것이 맞을까?
형용사의 어간 끝 'ㅎ(히읗)'이 어미 '네나 모음 앞에서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 게 원칙이었다.
'그러네'만 정답이었다.
2015년 12월 14일 국립국어원 공시에 다라 어간 끝의 'ㅎ(히읗)'아 탈락하기도 하고 탈락하지도 않기도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그러네/그렇네' 둘 다 올바른 표기가 됐다.
'커다랗다, 노랗다, 조그맣다, 어떻다, 뿌옇다, 동그랗다, 그렇다;등 모든 ㅎ 불규칙 용언의 활용형에 적용된다.
한글 맞춤법 4장 2절 18항
18항 -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
어간의 끝 'ㅎ'이 줄어질 적
그렇다 | 까맣다 | 동그랗다 | 퍼렇다 | 하얗다 |
그럴 | 까말 | 동그랄 | 퍼럴 | 하얄 |
그러면 | 까마면 | 동그라면 | 퍼러면 | 하야면 |
그러오 | 까마오 | 동그라오 | 퍼러오 | 하야오 |
그러니 | 까마니 | 동그라니 | 퍼러니 | 하야니 |
부서트렸다 vs 부숴트렸다 어떤 것이 맞아?
핸드폰을 (부숴트렸다 vs 부서트렸다)
'부숴트렸다', '부서트렸다' 과연 어떤 것이 맞을까? 단단한 물체를 깨어서 여러 조각이 나게 하다는 뜻의 말은 '부수다/부서트리다'이다. '부수다'의 활용형인 '부수어'에 '트리다'가 결합한 '부
yeolha.tistory.com
뵈요' vs '봬어' 어떤 것이 맞을까?
뵈요 vs 봬요
한국인이 자주 틀리고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하나이다. 예문으로 살펴보자 "그럼 내일 뵈요." "그럼 내일 봬요." 어떤 것이 정답일까? '뵈어요'의 줄임말이 '봬요'이다. 같은 예로 '되어요'의 준말
yeolha.tistory.com
귀가길 vs 귀갓길 어떤 것이 맞을까?
귀가길 vs 귀갓길
'귀가길'이 맞을까, '귀갓길'이 맞을까?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에 따라서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우리말과
yeolha.tistory.com
다행히 vs 다행이 vs 다행이다 vs 다행히다 쉽게 구분하는 법!
다행히 vs 다행이 vs 다행이다 vs 다행히다 쉽게 구분하는 법!
'다행히'와 '다행이', '다행히다'와 '다행이다' 뭐가 맞을까?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자주 듣고 말하는 단어이다. 발음할 때는 헷갈리지 않는데 막상 글을 쓸 때 헷갈리는 단어이다. 과연 어떤
yeolha.tistory.com
'한글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이 (부서졌다 vs 부숴졌다) (0) | 2023.05.13 |
---|---|
귀신 (씨나락vs시나락vs씻나락) 까먹는 소리 (0) | 2023.05.13 |
등교길 vs 등굣길 (0) | 2023.05.07 |
입학 (연도 vs 년도)가 기억나지 않아. (0) | 2023.05.07 |
마구간 vs 마굿간 (0) | 2023.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