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0

신부감 vs 신붓감 앞으로 신부가 될 사람 또는 신부가 될 만한 인물을 신부감이라고 할까 신붓감이라고 할까 정답은 신붓감 이유는 한자어 신부와 순우리말 감이 결합해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 깜으로 나게 된다 그러므로 사이시옷을 써서 신붓감으로 써야한다 2023. 2. 14.
Sugar Rush Ride 투모로우바이투게더 2023.01.27. https://youtu.be/P9tKTxbgdkk 생각은 곧 숨을 멈췄어 When you get back 내 다짐 따윈 한순간 풀어 헤쳐져 네겐 “Come a little closer” 넌 속삭여 “삼켜버려 the sugar rush” 밤하늘에 향연 Sweet desire 꿈에 데려가는 침대맡에 liar I can feel 거부할 수가 없어 달콤한 그 devilish smile 넌 능숙히 잠긴 내 문을 열어 어떡해 저 별이 보여 The devil said Gimme gimme more Gimme gimme more 이리 와서 더 같이 놀자 더 Sugar rush-ush Sugar rush-ush Sugar rush-ush Sugar rush-ush-uh Gimme gimme more Gimme gimm.. 2023. 2. 13.
파이팅 해야지 (Feat. 이영지) 부석순(SEVENTEEN) 2023.02.06. https://youtu.be/mBXBOLG06Wc 파이팅 해야지 파이팅 아뿔싸 일어나야지 아침인데 눈 감았다 뜨니 해가 중천인데 아침밥은 Pass 10분 더 자야 돼 Oh Take-out coffee로 (아메 아메 아메 아메) Story 속에 (친구들은 다 왜) 잘나 보여 (왜 나 나 나만 왜) 또 또 또 또 왜 아등바등 또 왜 이리저리 치여 왜 (I9 I9 I9 I9) 우린 다 이어폰 꽂은 Zombie 필요해 모두 다 텐션 Up pumpin' 힘을 좀 내어보자 우린 여러분의 부석순 반복되는 하루에 시작이 되는 이 노래 네 옆에서 불러주겠어 힘내야지 뭐 어쩌겠어 파이팅 해야지 파이팅 해야지 Don't give it up Never give it up yeah 파이팅 해야지 파이팅 해야지 우린 부석순 A.. 2023. 2. 13.
못하다 vs 못 하다 둘 다 표준어이다 그렇다면 뭐가 다를까? 못하다와 못 하다는 서로 뜻이 다르다 그러므로 문장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못하다'는 '어떤 일을 일정 수준에 못 미치게 하거나, 그 일을 할 능력이 없다'는 뜻이고(공부를 못한다). '못 하다'는 '하다'를 부정하는 말이다(다리가 아파서 지금은 달리기를 못 한다). 띄어쓰기 하나로 쓰임새가 다르므로 주의해서 사용하자 2023. 2. 13.
천장 vs 천정 헷갈리는 단어이다 천정 천장을 구분하지 못하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이번 기회에 알고 가자 천정은 북한말이다 표준어는 천장이다 정답은 천장이다 2023. 2. 13.
사망률 vs 사망율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중에 하나이다 사망률일까 사망율일까 모음이나 ㄴ 받침으로 끝난 명사 뒤에는 '율'(감소율, 할인율, 백분율, 청취율), ㄴ받침 이외의 받침으로 끝난 명사에는 '률'을 사용한다 (시청률, 입학률, 취업률, 사망률) 따라서 정답은 사망율이 아니라 사망률이다 2023. 2. 13.
딸래미 vs 딸내미 딸래미가 맞는 말일까 딸내미가 맞는 말일까? 기출변형으로 아들래미 아들내미가 있다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은 '딸내미'이다 딸래미 (x) 딸내미 (o) 마찬가지로 아들을 귀엽게 이르는 말은 뭘까? 아들내미(o) 아들래미(x) 아들내미가 정답이다 아들을 귀엽게 이르는 말은 아들내미다 2023. 2. 12.
할께 vs 할게 자주 틀리는 맞춤법이다 할께 할게 뭐가 맞는 정답일까? 그 일은 내가 할( ) 할게(0) 할께(x) '-ㄹ게'는 어떠한 행동을 할 것을 약속하는 종결 어미로 예사소리로 적어야 한다. '-할껄/-할께' 등은 모두 틀린 표현이다. 예를 들어 "아 그 주식 내가 살껄."하는 껄무새는 틀린 표현이다. 굳이 따지면 걸무새가 맞다 👍🏻 2023.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