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씨'는 '조사' 조사=토씨
토씨라고도 한다. 조사의 순우리말이 '토씨'이다.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한다. 또한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다. 조사는 형태상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의미상으로는 독립된 구체적 의미를 표시하지 못하여 관념사에 부속되는 관계사이고, 기능상으로는 자립어에 부속되어 그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의미를 덧붙여준다.
조사는 그 기능, 의미, 분포 등에 따라 격조사와 보조사(이를 보조조사 또는 특수조사라고도 한다.)로 분류된다. 조사의 기능이 통사(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기능이냐 의미기능이냐에 따라 이같이 분류되는 것인데, 통사기능은 격조사가, 의미기능은 보조사가 담당한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라고 한다.
격조사, 보조사로 분류하는 방법 이외에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 감탄조사], [격조사, 보조사, 연결조사, 격조사, 구문조사, 한정조사], [격조사, 후치사, 첨사] 등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격조사의 설정은 모두 인정하면서도 그 분류가 달라지는 것은 보조사에 대한 명칭이나 이를 세분하는 태도에 말미암은(어떤 현상이나 사물 따위가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정조사는 보조사에 해당된다. 접속조사, 연결조사, 구문조사는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명칭만 달리 붙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격조사, 후치사, 첨사의 분류는 특히 중세국어 및 근대국어의 조사체계를 기술할 때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분류상의 차이는 결국 격조사와 보조사만 인정하느냐, 그밖에 접속조사나 감탄조사를 더 인정하느냐 하는 태도에 말미암은 것이다.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에 대해 알아보자
1. 격조사
격조사는 체언을 같은 문장 안의 다른 단어와 일정한 문법적 관계를 맺게 해주는 조사이다. 격조사에는 주격조사(이, 께서, 가, 에서), 서술격조사(이다), 목적격조사(을, 를), 보격조사('되다, 아니다' 앞에 체언이 붙는 이, 가), 관형격조사(의), 호격조사(야, 아, 여), 부사격조사(에게, 으로, 로써, 에게서, 처럼) 등이 있다.
2. 접속조사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조사이다. 대표적으로 '와/과', '하고', '(이)며', '(이)랑' 등이 있다. 한편, 접속 조사 '와/과'는 비교를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와/과'와는 구별된다. '나는 장미와 수국을 좋아한다.'에서 조사 '와'는 장미와 수국을 대등한 자격으로 연결해 주는 접속 조사에 해당한다. 그러나 '장미와 수국은 다르다.'에서의 조사 '와'는 장미는 수국과 비교했을 때 다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 경우 '와'는 부사격 조사로 사용된 것이다.
3. 보조사
체언이 어떤 문장성분으로 쓰이는 데에 구별 없이 그 체언에 어떤 듯을 첨가하여 주는 조사의 하나, 조사는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해 주거나 또는 나름대로의 어떤 뜻을 더해주는 기능을 하는 하나의 품사이다. 보조사는 특수조사라 불리기도 하는데, 특수조사라는 용어는 애초에 여러 격에 두루 쓰인다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으나 현재 보조사와 같은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다. 보조사는 체언뿐만 아니라 격조사 아래에도 쓰일 수 있으며, 부사와 연결어미 아래에도 붙을 수 있다.
'한글 > 뜻'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제 vs 결재 (0) | 2023.06.11 |
---|---|
용언의 '표현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08 |
용언의 '양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08 |
'용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08 |
체언이란? (0) | 2023.04.07 |
댓글